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존감이 낮을수록 경계를 설정하기 어려운 이유

by closeness0927 2025. 3. 24.
반응형

“나도 거절하고 싶은데, 이상하게 말이 안 나와요.” “저 사람이 날 싫어하면 어쩌지? 계속 나를 안 좋게 보면 어떡하죠?”

이런 생각을 자주 하는 사람은 자존감보다 ‘타인의 평가’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존감이 낮으면 경계를 설정하는 것 자체가 큰 도전이 됩니다. 왜일까요?

 

🔹 자존감이 낮다는 것은 어떤 상태일까? 자존감이 낮다는 건 단순히 자신을 싫어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는 **자기 감정, 생각, 선택을 ‘내가 존중하고 신뢰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런 사람은 타인의 말이 늘 정답처럼 들리고, 내가 느끼는 불편함보다는 상대의 기분이 더 중요해집니다.

그 결과, 경계를 세우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다음과 같은 생각이 발목을 잡습니다.

  • “내가 이런 말 해도 될까?”
  • “내가 너무 예민한 건 아닐까?”
  • “내가 참는 게 편한 거 아닐까?”

이러한 사고방식은 결국 **‘경계를 세우는 것 = 관계를 망치는 것’**으로 오해하게 만듭니다.

 

🔹 자존감이 낮을수록 경계 설정이 어려운 3가지 이유

  1. 자신의 감정을 신뢰하지 못한다
    • “내가 지금 싫은 건 기분 탓일 뿐이야”라고 넘기며, 감정 자체를 무시한다.
  2. ‘좋은 사람’이라는 이미지에 집착한다
    • 거절하면 나쁜 사람이 될까 봐 두려워하고, 착하고 유순하다는 인식을 놓지 못한다.
  3. 거절 이후의 반응을 두려워한다
    • “저 사람이 날 싫어하게 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 때문에 말을 아끼고 참는다.

이 모든 건 결국 ‘자기 존재의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입니다.

🔹 자존감을 회복하는 것은 경계를 세우는 훈련이다 경계를 세운다는 건 곧 “나는 이런 사람이야”라고 세상에 말하는 행위입니다. 자존감은 단순한 자기 위로가 아니라, 내 생각과 감정, 선택을 정당하게 여기고 표현하는 힘에서 나옵니다.

 

🔹 자존감을 회복하고 경계를 세우는 5가지 훈련

  1. 감정의 유효성을 스스로 인정하기
    • “불편하면 불편한 거다.” 내 감정을 의심하지 말고 수용해보세요.
  2. 하루에 한 번, 마음에 안 드는 것 표현해보기
    •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괜찮습니다. “이건 싫어요”, “그건 불편해요”처럼 연습해보세요.
  3. ‘나’라는 주어로 문장 말하기
    • “나는 지금 이런 기분이야”, “나는 이게 좋지 않아.” 책임 있는 표현이 자존감을 키웁니다.
  4. 거절 이후 생기는 불편함을 견뎌보기
    • 불편한 감정은 일시적입니다. 그 감정을 피하지 말고 지나가게 두는 연습을 해보세요.
  5. 자기 자신과 약속을 지켜보기
    • “오늘은 10분 일찍 퇴근하기”, “이번 약속은 가지 않기”처럼 내 편이 되어주는 습관을 만드세요.

🔹 경계 없는 친절은 오래 가지 못한다 경계 없이 주는 친절은 결국 나를 지치게 하고, 언젠가는 누군가를 원망하게 됩니다. 자존감이란 ‘내가 나를 먼저 존중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내가 나를 지켜야, 타인과의 거리도 지킬 수 있습니다.

경계는 ‘벽’이 아니라 ‘울타리’입니다. 울타리가 있는 관계가 더 오래 갑니다. 지금부터라도, 당신의 울타리를 스스로 만들어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