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2) 영상의 비율 이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상의 비율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지난번 포스팅 때는 화소 수(픽셀 수)를 이해하였는데요.
관련하여서 비율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영상의 비율은 기본적으로 가로 대 세로가 되겠습니다. 비율이 16:9이다 하면 가로대 세로의 비율인 것이죠!
기본적으로 영상의 비율은 '무엇으로 영상을 보는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는 브라운관으로 TV프로그램을 시청했습니다. 브라운관을 아시나요?
이렇게 생겼습니다. ^^ 예전에는 기숙사에 컴퓨터 옮길 때 제일 무거운 것이 바로... 이 녀석... 브라운관 모니터였습니다. ㅎ
그런데 가만 보면 화면의 사이즈가 우리가 지금 보는 비율이랑 다르죠? 브라운관의 가로대 세로의 비율은 4:3 입니다. 얼추 눈으로 보면 가로가 4만큼이라 쳤을 때, 세로는 3 정도 돼 보이죠?
그런데 지금은 브라운관이 아니라 LCD 또는 LED TV 또는 모니터를 사용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TV나 모니터의 크기입니다. 위에 브라운관과 비율이 다르다는 것을 한눈에 알수 있으시죠?
자! 우리가 영상을 만들 때, 시청자들이 보는 도구(TV, 스마트폰 등)의 비율을 고려해야 저기 있는 TV 화면의 공간을 빠짐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TV는 16대 9 비율인데, 영상을 4대 3 비율로 만들었습니다. 그럼 아래와 같겠죠?
비율을 맞추지 않았더니, 양쪽에 사용하지 못하는 공간이 생겨버렸네요! 그렇다면 이미 만들어 놓은 영상을 꽉채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위에 표시된 부분밖에 있는 부분을 포기하고, 비율을 맞춘 영역만 확대한다면, TV가 꽉 채워지겠죠? 아래를 보세요!
TV의 비율(16대 9)에 맞춰, 내가 4대 3의 비율로 만든 영상의 위, 아래 부분이 잘렸습니다. (크롭 되었다고 표현합니다.)
자! 반대로 예를 들어볼게요!! TV는 4대 3 비율인데, 영상을 16대 9 비율로 만들었습니다. 그럼 아래와 같겠죠?
비율을 맞추지 않았더니, 위, 아래쪽에 사용하지 못하는 공간이 생겨버렸네요! 그렇다면 이미 만들어 놓은 영상을 꽉 채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위에 표시된 부분밖에 있는 부분을 포기하고, 비율을 맞춘 영역만 확대한다면, TV가 꽉 채워지겠죠? 아래를 보세요!
어떠세요? 비율에 대해서 조금 이해가 가시나요?
우리가 영상을 보는 도구에 맞춰서, 제작하는 영상의 비율을 설정해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요즘 보는 대부분의 미디어를 보는 도구는 16대 9의 비율로 나옵니다.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스마트 폰은 16대 9보다 약간 가로 비율이 긴 편인데, 그래도 양쪽에 살짝만 잘리고 16대 9로 보는 편이지요!
그래서 결론은 기본적으로 영상은 16대 9로 제작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요새, 인스타나 페북에서는 1:1 비율의 영상이나, shorts 영상은 세로의 영상 즉 9대 16 비율의 영상을 만들기도 합니다. (용도에 맞춰서 비율을 설정하면 되겠습니다. )
그래서 당연히!
픽셀 수도 영상의 가로 세로 비율과 비례하겠죠!
우리가 흔히 말하는 화질은 기본적으로 16대 9를 전제로 합니다.
예를 들어, 가장 기준이 되는 화질 FHD (가로 1920개 x 세로 1080개) - 가로 16대 세로 9가 됩니다.
16대 9 비율의 해상도별 화소수에 익숙해지면 좋습니다.
<16대 9 비율의 화질 구분>
640*360 SD 화질, '360p'로도 표기
1280*720 HD 화질 , '720p'로도 표기
1920*1080 FHD화질, '1080p'로도 표기
3840*2160 4K 화질, '2160p'로도 표기
내가 만약 1:1 비율의 영상을 만들고 싶은데, FHD정도 되는 화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로 1920개의 픽셀 X 세로 1920개의 픽셀을 선택하면 1:1 비율의 고화질 영상을 만들 수 있겠죠?
자! 어떠신가요? (1920*1080) 왜 픽셀 수가 이렇게 되는지 이해가 되셨나요?
지난번 포스팅과 이어서 보셨다면, 픽셀 수와 화질, 그리고 픽셀수와 영상의 비율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시퀀스를 미리 만들어야 하는 이유와 4K 소스를 촬영하여 크롭 해서 사용하는 방법 등을 안내드리겠습니다.
짧지만, 영상을 시작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됐기를 바라면서.... 오늘은 금방 물러갑니다 ^^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1) 화소수(픽셀수) 이해 (closeness0927.com)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1) 화소수(픽셀수) 이해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1) 화소수(픽셀 수) 이해 영상을 만들려고 할 때, 영상의 화질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어떤 분들은 화질에 대한 이해가 없다 보니, 막상 힘들게 만들어 놓고
closeness0927.com
'유튜브 & 미디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자(4) 4k 화질로 왜 찍는거야? (0) | 2022.05.31 |
---|---|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3) 영상의 공간을 먼저 만들자! (0) | 2022.05.30 |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1) 화소수(픽셀수) 이해 (0) | 2022.05.26 |
외장 마이크의 중요성~(feat. 소니tx650) (0) | 2022.05.25 |
11. 영상 촬영시 고려해야 할 것!(편집 때 후회하지 말자!) (0) | 2022.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