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3) 영상의 공간을 먼저 만들자!
지난 번의 포스팅으로 픽셀 수와 비율 등으로 영상의 화질을 이해해 보았습니다.
이어서 앞의 포스팅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려고 합니다.
간단한 내용이지만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있어서, 짧게 설명을 드려볼게요!
예를 들어, 내가 FHD 사이즈의 영상을 만들려고 합니다.
그러면 비디오 소스(영상 혹은 사진)는 어떤 것을 준비해야하죠?
비디오 소스도 FHD이상의 화질을 준비해야 합니다. FHD 이하의 소스로는 절대 FHD화질을 만들 수가 없습니다.
이것은 잘 아실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좋은 화질의 무료 저작권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들도 소개해 드린 바 있습니다. (아래)
https://closeness0927.tistory.com/11
08. 저작권 무료 소스1 (이미지 & 비디오 소스)
08. 저작권 무료 소스1 (이미지 & 비디오 소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작권 무료 콘텐츠들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우리가 영상을 만들 때, 반드시 저작권 무료의 소스를 사용해야 된다는 것을 잘 배
closeness0927.com
자! 여기까지는 잘 이해하셨을 것이라 보는데요!
또 하나 이해하고 계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비유를 해볼게요!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도화지가 있어야 합니다. 만약에 큰 그림을 그리려 하면,
애초에 도화지를 매우 큰 것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작은 도화지를 준비하면,, 내가 아무리 큰 그림을 그릴 준비가 되어도
도화지에 맞게 그릴 수 밖에 없어요!
영상에서도 이 도화지 개념이 중요합니다.
내가 FHD사이즈의 영상을 만들려고 하면, 애초에 FHD사이즈의 도화지를 준비해야 해요.
아무리 비디오 소스가 커도, 도화지가 작으면, 결국 도화지의 크기대로 영상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영상작업을 할 때,
가장 먼저 신경써야 하는 부분은 그림으로 치면 '도화지의 크기'입니다.
프리미어 프로에서는 '시퀀스'라고 하는데, FHD사이즈로 정확히 설정해서 시퀀스를 만들어 놓은뒤(도화지를 준비하는 개념) 모든 작업을 시작해야 하는 것입니다.
프리미어 프로는 시퀀스가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비디오소스를 타임라인에 가져다 놓으면, 자동으로 소스의 크기에 맞춰서 시퀀스 크기가 설정됩니다.
내가 실수로 1280*720 사이즈의 사진을 가장 먼저 타임라인에 드래그 앤 드랍을 했다면,
시퀀스 크기가 1280*720사이즈로 만들어 지는 것이죠!
이 후에 어떤 큰 소스를 가져와도, 최종 출력물은 세팅된 시퀀스의 크기대로 1280*720이 됩니다.
복잡한 작업을 다 하고 보니, 시퀀스 세팅이 잘못되어 있어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중간에 시퀀스 크기를 재조정 할 수 있지만, 하나하의 비디오 소스(사진, 영상, 텍스트 등)를 클립마다 크기를 재조정해야하니.....사실상 재작업해야 합니다. ㅜㅜ
즉, 비디오 소스도 큰 사이즈로 준비해야 하고, 영상 작업을 시작할 때, 시퀀스(도화지)를 정확한 사이즈와 비율로 세팅해야 한다는 것 잊지마세요!
'유튜브 & 미디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임 레이트' 이해하자 (멋진 슬로 모션을 연출하고 싶어요! ) (0) | 2022.06.08 |
---|---|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자(4) 4k 화질로 왜 찍는거야? (0) | 2022.05.31 |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2) 영상의 비율 이해 (0) | 2022.05.28 |
영상의 화질을 쉽게 이해하기(1) 화소수(픽셀수) 이해 (0) | 2022.05.26 |
외장 마이크의 중요성~(feat. 소니tx650) (0) | 2022.05.25 |
댓글